도시 폭염, 누구에게 더 위험한가?
더운 여름, 모두에게 똑같이 위험하지 않다
도시의 여름은 점점 더 뜨겁고, 길어지고 있습니다. 폭염경보가 일상이 되고, 건물과 도로는 열을 품어 새벽까지 식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도시, 같은 여름이라도 그 피해는 결코 공평하지 않습니다. 폭염은 가장 약한 곳부터, 가장 힘없는 사람부터 가장 큰 영향을 미쳐 먼저 쓰러뜨립니다. 좁고 낡은 지하방, 옥탑방, 고층 아파트 옥상방에 사는 사람들은 폭염이 닥칠 때마다 ‘불가마’ 속에 고립되고, 에어컨이 없는 집, 쿨링센터(무더위 심터)에서 먼 주거, 에너지 빈곤층은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폭염 속 불평등,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나
첫째, 저소득층, 독거노인,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은 냉방기기 구입이나 전기요금 부담이 커서 냉방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합니다. 쿨링센터(무더위쉼터)는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운영 시간이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주거 환경이 열악할수록 실내외 온도 차이가 심해집니다. 단열·방수 설비가 미흡한 집은 한낮의 열기가 밤에도 그대로 남아, 야간 폭염(열대야)에 노출됩니다.
셋째, 사회적 고립도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뜻한 돌봄이 없는 독거노인, 건강 이상 신호를 알릴 곳 없거나 어려워하는 장애인, 언어·정보에 취약한 외국인 노동자 등은 폭염 재난 때 가장 쉽게 위기에 처합니다.
폭염 피해, 건강·생계·사회적 연대까지 흔든다
폭염은 단순히 불편함이나 더위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열사병, 심근경색, 신부전, 호흡기질환, 정신건강 악화, 심지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폭염은 일자리와 생계에도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건설·택배·노점 등 실외에서 일하는 실외노동자는 일터에서 쉴 틈 없이 열에 노출되거나, 임시 일자리의 중단으로 인한 소득 감소로 이어져 경제적 불안까지 겪게 됩니다. 이 뿐만 아니라 도시에 있는 기반시설에도 부담이 커집니다. 전력수요 급증, 정전, 수도관 파열, 교통사고 등 사회 전체의 리스크가 커지는데, 결국 취약계층이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됩니다.
우리나라와 세계의 폭염 적응 정책
서울, 부산 등 국내의 주요 도시는 취약계층 방문 돌봄 서비스, 냉방기기·선풍기 지원, 쿨링센터(무더위쉼터) 확대, 옥상녹화·그늘막 설치, 폭염경보 문자 발송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프랑스, 일본, 미국, 호주 등도 에너지 바우처 지급, 쿨링센터 24시간 운영, 취약계층 집중 모니터링, 커뮤니티 자원봉사단 파견 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정책 사각지대, 정보 격차, 실제 접근성, 관리·인력 부족 등 많은 한계가 드러납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쿨링센터(무더위쉼터) 방역 문제, 복지시설 운영 중단 등은 복합적인 재난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삶을 더욱 위태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폭염 시대, 시민 연대와 새로운 패러다임
이제 폭염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사회적 불평등과 건강권, 주거권, 복지권 등 다양한 인권 이슈와 맞닿아 있습니다. 시민들은 이웃 돌봄, 안부 확인, 정보 공유, 자원봉사, 쿨링센터 안내 등 일상적 연대로 폭염 재난을 함께 이겨낼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도시녹지 확대, 에너지 복지, 그린뉴딜, 환경교육, 공공의료 강화 등 구조적 대응이 동반되어야 실질적이고 실제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의 시대를 맞아 ‘기후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국가 및 지자체 정책의 최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도시는 더 이상 공평하지 않습니다. 폭염 취약계층은 우리 사회의 거울이자, 함께 더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앞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맺음말
도시의 더위는 앞으로도 더 심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가 관심을 기울이고 힘을 합치면, 폭염의 피해도, 불평등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만드는 연대와 실천이 안전한 도시, 모두의 여름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