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진파(P파·S파)의 전파와 내부 구조 해석

읭즈.Eungez 2025. 8. 15. 00:05
반응형

지진파(P파·S파)의 전파와 내부 구조 해석

지진파란 무엇인가?

지진파(seismic wave)란, 지구 내부에서 지진(지각 내 단층 파열)이 발생할 때 그 에너지가 사방으로 전달되며 발생하는 탄성파(진동)입니다. 지진파는 지구 내부 구조를 밝히는 ‘자연의 X-레이’로, 지각·맨틀·핵의 경계, 성질, 밀도 등 인간이 직접 관측할 수 없는 지구의 깊은 곳을 간접적으로 탐사하는 과학적인 도구입니다.

P파와 S파의 정의와 차이

지진파는 크게 P파(Primary wave, 종파)S파(Secondary wave, 횡파)로 구분됩니다. P파는 입자의 진동 방향이 파의 진행 방향과 같은 ‘종파’로, 고체·액체·기체 모두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속도가 빠르며(약 6~13km/s), 지진 발생 후 가장 먼저 도달하는 파동입니다. S파는 입자의 진동 방향이 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횡파’로, 오직 고체만 통과할 수 있고, 액체·기체는 전달하지 못합니다. 속도는 P파보다 느리며(약 3~7km/s), P파에 이어 도달합니다.

지진파(P파·S파)의 전파와 내부 구조 해석
지진파(P파·S파)의 전파와 내부 구조 해석

지진파의 전파 경로와 내부 구조 해석

지진이 발생하면, P파와 S파는 지구 내부를 통과해 지진계(관측소)까지 도달합니다. 이때, P파는 지구 중심부(맨틀, 외핵, 내핵)를 거쳐 전 지구로 전달되지만, S파는 액체(외핵)를 통과할 수 없어 외핵을 지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지구상 일부 지역(‘S파 음영대’)에서는 S파가 아예 관측되지 않습니다.

이런 현상과 파의 도달 시간, 경로를 분석하면 - 외핵이 액체(고체가 아님)임을 확인할 수 있고 - 내핵은 고체라는 증거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P파와 S파의 속도 변화는 지구 내부의 밀도·물성 변화(지각-맨틀, 맨틀-핵 경계 등)를 밝혀주는 핵심 자료가 됩니다.

지진파 분석과 지구 내부 탐사의 실제

전 세계의 지진계는 동일한 지진파를 다양한 위치에서 감지합니다. 각 관측소에서 P파와 S파의 도달 시간 차, 진폭, 방향 등을 종합 분석하면 진앙(지진 발생 위치)과 진원 깊이, 내부 구조의 밀도 분포까지 입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 지각-맨틀 경계(모호면), - 맨틀-외핵 경계(구텐베르크 불연속면), - 외핵-내핵 경계(레만 불연속면) 등 지구 내부의 주요 경계가 지진파의 속도와 전달 특성 변화로 명확히 드러납니다.

지진파를 활용한 현대 지구과학 연구

지진파 탐사는 화산 지역, 판 경계, 핵 실험, 대심도 암석 탐사 등 현대 지구과학·지질학의 핵심 연구법입니다. 지진파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지구 내부의 3차원 영상(지진파 단층 이미지)을 만들고, 심층 구조, 맨틀 대류, 지진 위험도, 석유·광물 탐사 등 실제 산업·안전·환경 분야까지 응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진파는 지구 내부의 물리적·화학적 구조뿐 아니라 지진·화산·판구조론 이해, 실생활 안전과 미래 예측까지 매우 넓은 영역에 활용됩니다.

핵심 요약

  • 지진파는 지진 시 발생하는 탄성파로, 지구 내부 구조 해석의 핵심 도구입니다.
  • P파는 종파, 고체·액체·기체 모두 통과, 빠름. S파는 횡파, 고체만 통과, 느림.
  • S파는 외핵(액체)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S파 음영대가 형성됩니다.
  • 지진파 도달 시간·속도·경로 분석으로 지각·맨틀·핵의 경계와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 지진파 탐사는 현대 지구과학·자원 탐사·재해 예방 등 폭넓게 활용됩니다.

🔍 더 알아보기

✅ 지진파 음영대와 실제 관측 사례

  • P파는 종파로 고체·액체·기체를 모두 통과하여 지구 전역에 도달할 수 있지만, S파는 횡파로 액체를 통과하지 못하기에 액체 상태인 외핵을 지나지 못해 진앙 반대편(104~140도 사이)에서는 S파가 아예 관측되지 않습니다.
  • 이 ‘음영대(Shadow zone)’ 관측을 통해 외핵이 액체라는 사실이 처음 증명되었습니다.
  • 지진파 도달 시간 차를 이용하면, 세계 어느 곳에서 지진이 발생해도 진앙, 진원 깊이, 구조 경계까지 빠르게 역산할 수 있습니다.
  • 지진파 분석은 실제 판 구조론, 지진 위험 예측, 대심도 광물·에너지 자원 탐사에도 활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