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8 112

빙하 후퇴와 담수 유입이 해양 열염순환과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빙하 후퇴와 담수 유입의 개요빙하 후퇴(Glacier retreat)란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의 전진 속도보다 녹는 속도가 더 빨라 빙하 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알프스, 히말라야, 안데스 산맥 등 전 세계 산악 빙하는 물론,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 빙상도 빠른 속도로 후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빙하 후퇴는 해수로 막대한 양의 담수를 공급하며, 담수 유입(Freshwater influx)은 해양의 염분과 밀도 구조를 변화시켜 해류와 기후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빙하는 단순히 얼음 덩어리가 아니라 지구 수자원의 거대한 저장고입니다. 빙하가 줄어들면 해수면 상승을 유발하는 동시에, 해양의 밀도 차이를 약화시켜 열염 순환(thermohaline circulation)에 혼란을 초래합니다. 결과적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5.08.31

화산 폭발과 에어로졸이 만든 기후 냉각과 지구 시스템 영향

Eungez 이야기최근 이웃 나라인 일본의 후지산이 곧 폭발할 것 같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우리 눈에 바로 보이는 산은 아니고 거리가 있는 곳에 있는 산이기는 하지만, 화산은 폭발하면 전지구적으로 기후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큽니다. 화산이 폭발하는 경우, 어느 정도로 기후가 냉각이되고 지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지 저도 정리하면서 놀라웠습니다. 화산 폭발과 대기권 변화화산 폭발(volcanic eruption)은 지하의 마그마가 폭발적으로 분출되며 화산재, 가스, 용암을 대기권과 지표면으로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특히 황 화합물(SO₂)이 성층권까지 도달하면, 태양 복사 에너지와 대기 열균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성층권까지 도달하지 않는 소규모 화산 폭발은 기후에..

카테고리 없음 2025.08.29

해양 순환과 열염 순환, 대서양 자오선 역전류(AMOC)의 역할

Eungez 이야기바람 따라 파도가 치는 것처럼 보였던 해양은 해수의 온도와 염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열염 순환으로 인해 움직입니다. 이 해양의 순환은 우리의 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였지만 기후와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글을 정리하며 알게되었습니다.해양 순환이란?해양 순환(Ocean circulation)은 바닷물이 전 지구적으로 움직이는 거대한 흐름을 의미합니다. 해양 순환은 대기의 바람, 태양 복사 에너지, 지구 자전, 해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전 지구 기후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양 순환은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으로 구분되며, 두 흐름은 서로 연결되어 에너지와 물질을 전 지구적으로 수송합니다.표층 순환은 바람에 의해 유도되는 흐름으로, 무역풍..

카테고리 없음 2025.08.28

지구 자기장 : 형성과 구조, 태양풍과 자기권, 오로라 발생

Eungez 이야기10년도 더 전에 필자는 오로라를 딱 한 번 본 적이 있는데, 그 아름다운 경관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북극권의 밤하늘을 수놓는 '오로라'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풍, 자기권 등과 큰 관련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구 자기장, 태양풍, 자기권, 오로라 발생 메커니즘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지구 자기장이란?지구 자기장(Earth’s magnetic field)은 지구 내부의 외핵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으로, 지구 전체를 감싸는 보이지 않는 보호막과 같습니다. 나침반 바늘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는 것도 이 자기장 덕분입니다. 자기장은 지구의 남극에서 북극으로 향하는 거대한 자석과 비슷하게 작용하며, 태양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로부터 지구를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지구 자기장은 단순히 항해에만 쓰이..

카테고리 없음 2025.08.27

해수면 상승의 원인과 영향

해수면 상승의 원인에 대한 오개념으로 빙하가 녹아서 바다에 유입되어 해수면이 상승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이 내용은 잘못된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글을 정리하면서 다시 보니, 바다 위에 있는 빙하가 아니라 대륙 위에 있는 얼음이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가면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 내용인지 함께 살펴볼까요?해수면 상승의 원인과 영향해수면 상승이란?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은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장기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와 직결된 문제로, 빙하와 빙상이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가거나 바닷물이 열에 의해 팽창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해수면 상승은 수십 년 단위의 단기적 변동이 아닌, 수백..

카테고리 없음 2025.08.26

대기 대순환과 무역풍·편서풍

해들리 세포에서의 무역풍, 페렐 세포에서의 편서풍, 그리고 극 세포에서의 제트기류까지! 중고등학교 과학시간에 대기 대순환을 배운다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개념들이라 생각합니다. 이 글을 통해 쉽게 알아봅시다.대기 대순환과 무역풍·편서풍대기 대순환이란?대기 대순환(Global atmospheric circulation)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불균등한 분포를 보상하기 위해 지구 대기가 거대한 규모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적도 지역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공기가 가열되고 상승하지만, 고위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받아 냉각됩니다. 이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대기가 전 지구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지구 기후가 조절됩니다.대기 대순환은 단순히 한 줄기의 흐름이 아니라, 위도별로..

카테고리 없음 2025.08.25

사막화와 토양 황폐화 과정

필자가 어린 시절, 학교에서 토양의 황폐화 과정과 사막화를 막기 위하여 무분별한 벌목을 하지 않고, 방목을 계획적으로 하며, 나무를 잘 심어야한다는 등의 이야기를 들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텔레비전에서 나무를 심는 방송이 나온 후, 10여년이 지나 해당 지역에 나무가 잘 자라 사막화가 더 진행되지 않았다는 내용도 본 기억이 납니다. 자, 이번 글에서는 사막화와 토양 황폐화 과정, 그리고 인간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사막화와 토양 황폐화 과정사막화란 무엇인가?사막화(Desertification)는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토지가 생산성을 잃고 점차 사막과 유사한 상태로 변해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사막이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토양 비옥도와 수분 ..

카테고리 없음 2025.08.24

해양 산성화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ungez 생각'해양 산성화'라는 단어는 본 블로그에서 여러 번 나왔습니다. 우리의 바다, 해양에 수소 이온이 많아져 pH가 낮아지면서 산성화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산성화가 된다고 하면 마냥 무엇인가 녹아내리 것이라는 생각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렇게 생각을 했었고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해양에 살고 있는 조개, 산호, 플랑크톤 등 생각보다 많은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더군요.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은 몸소 체감할 수 있지만, 해양의 산성화는 우리가 잘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양 산성화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해양 산성화란?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가 증가하면서 바다로 흡수되어 해수..

카테고리 없음 2025.08.23

심해 열수구 형성과 종류, 화학 합성

Eungez 생각해령이나 열점 부근은 너무 뜨거워서 생명이 살기 어려울 거 같다는 고정 관념이 있었건만, 글을 쓰면서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의외로 많은 생물들이 그 주변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도 심해 열수구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그곳의 생태계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 그리고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함께 살펴봐 주세요.심해 열수구 형성과 종류, 화학 합성심해 열수구란? 심해 열수구(Deep-sea hydrothermal vent)는 해저의 지각 틈새에서 고온의 화학 성분이 풍부한 물이 분출되는 곳을 말합니다. 보통 수심 2,000m 이상의 중앙 해령이나 해저 화산 지역에서 발견되며, 해수와 지각 내부 마그마의 열이 만나 형성됩니다. 열수구에..

카테고리 없음 2025.08.22

빙하기 주기와 밀란코비치 이론

빙하기 주기란? 빙하기(Ice age)는 지구의 기온이 장기간 낮아져 대륙과 해양에 빙하가 확장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빙하기 동안 빙상은 고위도뿐 아니라 중위도 지역까지 확장되며, 해수면은 수십~수백 미터 낮아집니다. 현재 지구는 신생대 제4기(약 260만 년 전~현재)에 해당하는 ‘빙하기 시대’에 속하며, 그 안에서 빙기(Glacial)와 간빙기(Interglacial)가 반복되고 있습니다.최근 80만 년 동안 빙기와 간빙기는 약 10만 년 주기로 나타났습니다. 빙기에는 평균 기온이 간빙기보다 5~8℃ 낮았으며, 대륙 빙상이 북아메리카, 북유럽 대부분을 덮었습니다. 이러한 주기적 변화 원인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 밀란코비치 이론(Milankovitch theory)입니다.밀란코비치 이론의 개요세르비..

카테고리 없음 2025.08.17
반응형